본문 바로가기
회계

주식분할과 무상감자의 뜻과 차이점,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정리

by lit 2022. 11. 3.

무상감자와 주식분할은 시행 방법이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지만 서로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무상감자는 별도의 회계처리가 필요하지만 주식분할은 회계처리가 따로 없습니다.

 

 

 

1. 무상감자

  • 일반적으로 무상감자는 누적된 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하여 이루어집니다.
  • 무상감자는 주주에게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주주로부터 회수한 주식을 소각시키는 거래입니다.
  • 따라서 현금유출이나 순자산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무상감자를 시행하는 방법에는 주식의 액면가액를 감소시키거나 주식수를 감소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 무상감자는 주식을 회수하면서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감자차손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사례
    • 현재 당사의 자본금은 100,000원이고 이월결손금이 50,000원이다.
      ※ 이월결손금 = 미처리결손금
    • 결손금을 보전하기 위해 무상감자를 실시하였다.
  •  회계처리
    • ① 자본금 50,000원을 감자하는 경우
      • 차변 : 자본금 50,000
      • 대변 : 이월결손금 50,000
      • 재무상태표 표시 : 자본금 50,000, 이월결손금 없음
    • ② 자본금 80,000원을 감자하는 경우
      • 차변 : 자본금 80,000
      • 대변 : 이월결손금 50,000, 감자차익 30,000
      • 재무상태표 표시 : 자본금 20,000, 감자차익 30,000

 

 

 

2. 주식분할

  • 주식의 한 주당 가격이 너무 높으면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잘 안 됩니다.
  •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주식의 액면금액을 감소시켜 하나의 주식을 여러 개의 주식으로 나누는 것을 주식분할이라고 합니다.
  • 주식분할은 액면금액이 감소하지만 순자산(자본)의 변동은 없고 발행주식수만 변동합니다.
  • 예를 들어 발행 주식이 10주이고 주당 액면금액이 1,000원이라면 자본금은 10,000원입니다. 기업이 주당 액면금액을 500원으로 분할하면 발행주식은 20주가 되고 자본금은 10,000원으로 동일합니다.
  • 주식분할의 경우 별도의 회계처리가 필요치 않습니다.

 

 

 

3. 해당 페이지 관련 글

 

무상증자 뜻과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무상증자 뜻과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1. 무상증자 무상증자란 이사회나 주주총회 결의에 의하여 자본잉여금 또는 법정적립금을 자본금으로 대체하고 주주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를 무상으로 교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

attn.tistory.com

 

유상감자 뜻과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유상감자 뜻과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1. 유상감자(주식 소각)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대가를 지급하고 사들인 회사의 주식을 소각하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회사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될 경우 기업은

attn.tistory.com

 

유상증자 뜻과 종류,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유상증자 뜻과 종류,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회사는 법인 설립 당시에 신고한 발행가능 주식수 범위 내에서 주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면 자본금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증자라고 합니다. 증자는 주식을 발행할 때

att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