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가상각 정률법 계산
- 정률법은 유형자산의 기초 장부금액에 상각률을 곱하여 감가상각비 구하는 방법입니다.
※ 기초 장부금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연간 감가상각비 = 기초 장부금액 × 상각률
2. 감가상각 정률법 회계처리
㉠ 사례
- 회사는 20x1년 초에 기계장치를 950,000원에 취득하였다.
- 회사는 기계장치를 2년 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2년 후 기계장치의 잔존가치는 50,000원으로 추정하였다.
㉡ 회계처리
- 상각률 = 0.771
- 20x1년
- 감가상각비 계산 : 950,000 × 0.771 = 732,450
- 감가상각누계액 : 732,450
- 기계장치의 장부금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950,000 - 732,450 = 217,550
- 20x2년
- 감가상각비 계산 : 217,550 × 0.771 ≒ 167,550*
- 감가상각누계액 : 900,000
- 기계장치의 장부금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 950,000 - 900,000 = 50,000

※ 감가상각이 종료되는 20x2년의 감가상각비는 기말 장부금액이 잔존가치와 일치하도록 끝수를 조정하였습니다. 이는 감가상각비 계산에 사용된 상각률이 정확한 값이 아니라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3. 해당 페이지 관련 글
감가상각 뜻과 방법, 분개 및 회계처리 요약 정리
1.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내용연수* 동안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비용을 배분하는 과정을 말하며, 각 회계기간에 배분된 금액을 감가상각비라고 합니다. ※ 내용
att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