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원가는 조업도(≒생산량) 변동에 따라 총원가가 변화하는 행태를 통해 변동비, 고정비, 준변동비, 준고정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변동비(변동원가)
- 조업도 변동에 비례하여 총원가가 변동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 조업도 변동에 관계없이 단위당 원가는 일정합니다.
- 변동비 예시
- 제품 생산에 비례하여 재료비도 증가합니다.
- 다시 말해 조업도의 비례하여 재료비의 총원가도 증가합니다.
- 제품을 1단위를 생산하든, 100단위를 생산하든 제품 한 단위에 소비되는 재료비는 항상 동일합니다.

2. 고정비(고정원가)
- 조업도 변동에 관계없이 총원가가 항상 일정한 원가를 말합니다.
- 따라서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총원가를 조업도로 나눈 단위당 원가는 감소합니다.
- 고정비 예시
- 제품을 1단위를 생산하든, 100단위를 생산하든 공장건물의 임차료는 고정값으로서 항상 일정합니다.
- 따라서 제품의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제품 1개에 배분되는 공장건물의 임차료는 감소하게 됩니다.

3. 준변동원가(준변동비, 혼합원가)
- 조업도가 없어도 발생하는 고정비와 조업도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변동비로 구성된 원가입니다.
- 준변동원가 예시
- 전기료, 수도료는 사용하지 않아도 발생하는 기본요금에 더해 사용량에 비례하는 요금이 추가됩니다.

4. 준고정원가(준고정비, 계단원가)
- 일정한 조업도 범위 내에서는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조업도가 증가하여 그 범위를 넘어서면 총원가가 일정액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원가입니다.
- 준고정원가 예시 : 공장 직원 1명이 한 달에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개수가 30개인 경우 제품의 월 생산량 30개까지는 직원 한 사람의 인건비만 발생하지만 월 생산량이 31개가 되는 순간 공장 직원 2명의 인건비가 발생합니다.

5. 해당 페이지 관련 글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등 제조원가 분류 총정리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등 제조원가 분류 총정리
1. 원가 발생형태에 따라 분류 재료비 : 제품의 제조를 위해 당기에 투입된 재료의 소비액을 말합니다. 노무비 : 제품의 제조를 위해 당기에 투입된 노동력을 대가로 발생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attn.tistory.com
댓글